서문과 앞의 글을 보시려면 여기로

자. 앞서서 영화를 보기전에 알아두면 좋은 정보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았다.
그렇다면 영화를 보면서, 그리고 보고나서 영화를 즐겁게 이야기 할 수 있는 방법들 중 몇가지를 말해보겠다.
(이 방법을 썼는데 즐거운 대화가 안되었다고 하시는 분들... 개개인마다 취향이 있는 법이다.)

영화를 볼때 챙겨보면 좋은 것. 
영화에 두려움을 느끼지 마라. 그거 다 내가 5~6천원 내고 구한 영화다.최대한 즐기면서 보려하자.
하지만 즐기려고 하는데 집중이 안 되거나 이해가 안 돼서 답답할때가 있을거다.
그렇다고 옆에 있는 사람더러 물어보면 '야 시끄러' 라거나 '야. 나도 몰라.'정도의 핀잔밖에 더 듣지 못하리라.

그때는 자기가 오기전에 상상했던 것들과 실제 영화의 진행방향과 비교를 해보거나, 영화를 보기전에 궁금했던것들에 대해 답을 찾아보려고 해봐라. 혹은 영화를 보면서 궁금하고 이해가 안되는 부분, 아름다운 장면, 멋진 대사감명깊은 연기 등을 찾으려 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보라.

(여기서 제일 중요한 점은 영화의 모든 점을 하나하나 분석하고 비판하기 위해서 보는 것이 아니라
영화자체를 이해하고 모르는것도 모르는대로 받아들이려고 노력해라. 나중에 배우면 되잖는가?)

 영화를 보고나서 
 
영화를 보고 나면 바로 일어나지 마라.
영화의 크레딧이 올라가면서 뭔가 재미나보이는 것이 나올수도 있고, 게스트뷰나 관객과의 대화가 있을수도 있다.
 부산국제영화제는 이후에 게스트뷰나 관객과의 대화등 그 영화를 이해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유명한 작품들은 많은 평론가들의 분석이 마련되어있다. 그들의 의견을 보고 자기의 의견과 비교해보라.

하지만 이런 행사가 마련되지 않은 영화이거나 일반극장에서 영화를 봤다면 어쩌지?
그럴땐 영화보기 전에 자신이 봤던 자료를 다시 봐라.
그리고 영화를 보기전과 보고나서 받아들인 이야기의  차이를 비교해봐라.
그러면서 그 차이가 자기가 생각한것보다 괜찮았는지, 나빴는지, 뜬금없었는지.
어떤 장치나 복선을 마련했는가 등을 분석해 나만의 평가를 내리도록 하자.

혹은 그런 다음 영화를 같이 본 사람들과 의견을 교환해보도록 하자.
이런 대화는 사람들이  각각 다른 영화감상포인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기도 하고.
자신이 몰랐던, 혹은 못보고 지나쳤던 점을 꺠달을 수 있다.

하지만 자신의 해석이 남과 다르다고 해서 고민할 필요도 없고, 또 자신만의 해석이 맞다고 고집할 필요도 없다.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좋다. 그냥 다른 사람과의 의견을 듣고 생각을 해보라.
작품을 감상하는 사람이100명이면 작품의 해석방법도 100가지이다.
 
뭐. 물론 작가가 의도하고 넣은 해석방식이나 이야기가 있겠지.
하지만 영화는 예술이다. 예술이란  제작자가 감상자에게 전달하고자하는 장면을 그리지만.
제작자의 의도가 감상자에게 100% 전달되는 것도 아니며,
제작자가 감상자가 가진 궁금증을 100% 해결해줄 수도 없다.
 영화를 보면서 생긴 문제나 궁금증들이 풀리지 않는다고 해서 신경을 쓰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필요는 없다.
모든 예술은 즐기기 위해 만들어지지 않았는가.
여러분들. 영화를 즐겁게 보시길.
 

Posted by contentadmin :
인공지능이야기
카테고리 컴퓨터/IT > 컴퓨터공학
지은이 존카스티 (사이언스북스, 1999년)
상세보기

자. 이 이야기는 인공지능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거. 과거의 인물들이 토의하는 가상토론의 형식을 만들어 놓고 있습니다. 아니. 사실 따지고 보면 과학개론서같은 느낌과 과학소설같은 느낌이 같이 들지만 얼마나 가상토론을 잘 살리고 있는가 보죠

가상인터뷰나 가상토론을 주제로 삼는 글은 3가지가 중요합니다.
1. 적절한 주제 (가상토론이나 인터뷰를 펼치기 적절한 주제가 되어야 겠죠. 토론하는 인물들과도 어울려야 하고 우리들에게도 적절한 이야기가 되어야 하고 말이죠)
2. 적절한 설정 (인물이나, 배경이나 상황에 대한 것들이 잘 깔려있어야하죠.'그럴싸'해야 한다는 것은 물론이고요) 
3. 적절한 논리(각각의 인물들이 해당 논의에 대해 필요한 주제와 이야기를 나누고 그를 발젼시켜 나가는 모습이 꼭 필요하죠.)

우선 주제 적절합니다. 인공지능이라는 것은 과거부터 이어져 왔으며 미래엔 아마 구체화 될 기술로 보입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인공지능이 '가능한가'에 대해서 깊이있는 논의와 인공지능의 범위설정등도 필요하죠.
그리고 그러한 주제는 다양한 관점에서 이야기 되어야 하기도 하죠. 고로 주제는 좋다고 봅니다.

적절한 설정. 음... 시대가 과거로 넘어갔다는 점이 좀 거슬립니다. 그 당시에는 컴퓨터라는 것도 통용되지 않았죠.
하지만 토의하는 인물의 면면을 보자면 이야기는 달라집니다.  
1950년에 영국정부의 주관으로  비트겐슈타인,홀데인, 엘런 튜닝, 스노우, 슈뢰딩거등 당 시대. 아니 지금도 뛰어난 학자라고 뽑히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서 인공지능에 대한 토의를 한다는 설정은 '그럴법 하다'싶습니다. 그 분들이 말하는 논리는 아래에 짚어드리도록 하고, 그렇지만 가장 불만인 점이 각각의 케릭터에 대한 부분입니다.
비트겐슈타인은 언어학적인 주장만 꽥꽥 지르는 인물로 나와있고 슈뢰딩거나 홀데인의 토의태도도 그리 매끄럽지는 못합니다. 엘런 튜닝과 스노우만이 좀 매끄러운 인물로 나왔달까요.

하지만 마지막 적절한 논리부분이 위의 문제점을 덮어줍니다.
비트겐슈타인과 튜닝이 부딪히는 가운데 홀데인과 슈뢰딩거는 각각 자신들이 생각하는 이론들을 통해 그들의 주장을 증명하거나 반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토론은 기계가 두뇌를 가지고, 생각을 하고, 의미를 이해하고,사람의 말을 하고, 개성을 가지고, 문화생활을 해낼 수 있을지에 대한 여러가지 논쟁과 생각들이 순차적으로 부딪히게 되고 그런 과정을 보는것만으로도 각각의 이론이나 논리적 설계구조, 고민등을 잘 파악할 수가 있었습니다.
(비록 그 시대에 나온 논리나 사상이 아닌 부분들이 있지만. 뭐. 가상토론이니까요.)

무엇보다도 이러한 글을 만들어 낸 작가분의 필력과 지식력에 감탄을 금치 못하면서 두서없는 글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Posted by contentadmi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