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시립미술관의 '자료와 그림으로 보는 부산의 근 현대풍경'은 솔직히 뻔한 풍경이나 그림이 나오리라. 생각했습니다.
그렇지만. 제 생각을 훌륭하게 깨부숴주더군요. 신선한게 많았습니다.

우선 대한도기의 그림들입니다.


대한도기에는 해외수출용으로 여러 작가들의 그림을 도자기에 그려 수출했습니다.
그리고 그 그림들 중에는 내노라 하는 작가들의 그림도 있었죠.
(대한도자기는 작가들에게 그 그림을 그리는 대가로 식권을 줬다니! 이 얼마나 큰 효율입니까.)
그런 도자기들의 그림과 견본이 지금까지 전부 유지되고 있었다면 그 나름대로도 귀중한 문화자원이 되었을테지만... 이렇게 몇몇 도자기들이 남아서 이렇게 전시된 것만으로도 즐거웠습니다.



여러 작가들이 그린 도자기그림은 




이렇게 포장되어 전 세계로 나갔습니다.

도자기로 된 것은 이것뿐만이 아니죠.
예전에는 술이나 양념들도 도자기에 담아서 판매하고 도자기를 돌려주면 판매금의 일부를 돌려주는 식의 운영도 했습니다.


그중 하나인 술병이죠.
옛날 도자기 술병이라지만. 그래도 꽤 깔끔한 맛이 납니다. 요즘의 플라스틱병이나 유리병보다 더욱 멋지고 폼납니다. 더 무겁겠지만...


그리고 이렇게 이동형 노점상사진도 있죠.
요즘 트럭형 노점상과 비슷한 점도, 특이한 점도 발견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이와 같이 우리가 알 것 같지만 의외로 몰랐던 부산의 여러가지 이미지와 정보를 보여줍니다.
알게되는거는 새롭게 알게 되고 몰랐던 사실도 알게 되었죠.



그런 재미난 전시품이 근현대사에만 있는게 아닙니다.
부산의 지도상 풍경, 현재와 사진과 과거의 그림을 비교한 파노라마, 일본 사신접대순서를 나타낸 그림연작등 
우리가 보지 못했던 신선한 사진들이 많습니다.

이 외에도 부산이 일제시대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부산이 관광지가 된 사연등 여러가지 이야기등 여러 이야기가 숨겨져 있습니다. 부산에 대해 숙제해야하는 학생이나, 부산에 대해 궁금한게 많은 분은 한번 가보시길. 
Posted by contentadmin :


이번 젊은 시각 새로운 시선 3분의 작품 다 재밌게 봤습니다. 
하지만. 한분을 굳이 꼽아라고 하면...김해진작가를 말하겠습니다.




이 작가분은 벽에 시멘트를 발라서 하나의 작품을 만들었습니다.
시멘트로 그린 그림과 시멘트를 굳혀서 만든 명암과 부피만으로 조각도 아니고, 그렇다고 회화도 아닌 멋진 작품을 하나 만들어냈습니다.
제가 사진을 제대로 못 찍어서 이렇지만 제가 이 작품을 실제로 볼때에는 작품의 힘에 압도당할것만 같았습니다.


그리고 박윤희작가분의 작품.
단순해보이지만. 꽤 재밌는 구조의 작품이였습니다.
유리상자(혹은 플라스틱상자...같으나 부숴질까봐 만지진 못한)가 여러 겹으로 쌓여서 하나의 건물을 이루고 있는 작품. 
왠지 우리가 생각하는 '건물'의 겉모습. 외형만을 갖추어놓고 그 내부를 싹 비워놓은 느낌입니다.
'건물'이라는 것의 외형적 부피의 느낌과, 텅빈 내부의 대조, 그리고 유리(혹은 플라스틱)박스의 차갑고도 단조로운 조합은 차가운 도시느낌이 나서 좋았습니다.

마지막으로 제일 많은 사람들이 몰린 서평주작가분의 작품은 너무 많은 사람들이 있어서 사진을 제대로 못 찍었습니다.
이 작가분은 신문이나 뉴스의 장면들에 색칠을 하고 짜집기를 하여 미디어가 전달하고자 했던 정보의 허구성과 모호함, 혹은 그 이미지들을 조롱하는 등의 형태로 미디어를 재구성합니다. 그런 일련의 작업과 풍자들이 꽤 재밌었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이 너무 많이 몰려서 제대로 못 본게 아쉽습니다.

 
Posted by contentadmin :




화랑미술제를 방문하기 이전에 가벼운 몸풀기로 11시 55분에 부산시립미술관을 갔다. 
맨 처음 2층에서 물질에서 예술로의 전환전시를 보았다.
전시제목이 번역투라 왠지 딱딱할것 같다는 막연한 불안감에 휩싸였다.
하지만. 내 생각은 기우에 불과했다.


제일 먼저 나를 맞이한 것은 벽면한쪽을 떡하니 차지한 그림이 .아니 점토판이 보였다.


가까이서 보면 점토에 색칠을 한 것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옆에는 대리석이나 돌을 깎아만든. 아니 다듬은 나무에 석고를 발라 굳힌 작품이 전시되어있었다. 다른 작품들도 이와 비슷했다.


유리공예나 동판화처럼 보이는 목판화나


도자기 느낌이 나는 유리공예품등 원재료가 주는 느낌만이 아닌 다양한 느낌의 작품들을 만날 수 있었다.


그다음 반대편에 전시되고 있는 일본작가작품전을 관람했다. 일본의 미술품이라는 주제아래 다양한 작품들이 서로 자랑하듯 전시되어 다양한 일본미술을 알 수 있었다.

그중에서는 한국화의 감성으로 그려진 고희동의 일본풍경이나 이국의 한 거리를 강렬한 이미지로 묘사한듯한 사에키유조의 무제,



먹과 물감을 자유롭게 놀린 무나카타 시코의 부엉이,



숲속의 풍경을 섬세하게 그려낸 사다마사의 무제등이 눈에 띄였다.

여려 다른 괜찮은 작품들이 많았지만 플레쉬가 터져서 제대로 찍히지 않았다.

3층에는 베트남 작품전시가 열리고 있었다.
베트남 작품전시는 방마다 주제가 보였다.

첫번째 전시실에는 옻칠을 한 나무에 그림을 그린 작품들이 거려있었다. 옻 특유의 색감과 질감을 흑백에 상관없이 잘 살려놓았다.


두번째 전시실에는 게릴라와 전쟁에 관한 그림이 그려져 있었다.
베트남은 오랫동안 다른나라에 지배를 당해왔다 그래서 지배를 벗어나기 위한 저항은 오랜세월동안 지속되었고, 게릴라는 마을공동체의 일원이 되었다. 이 전시실엔 이와같은 환경이 묘사된 작품들이 많았다


그 외에는 중국의 영향을 받았지만 베트남의 자연이 잘 살아있는 작품들이 걸려있었다.


반대쪽에도 어떤 작품이 있는가 해서 봤는데 내부공사를 하고있어서 이까지관람하기로 했다

부산시립미술관감상은 이까지 하기로 하고 곧장 화랑미술제를 갔다.




(화랑미술제를 돈 코스)
문이 닫겨진 범위를보니 벡스코 두동을 빌린것 같았다. 한동만 빌려도 다 돌려면 시간이 오래 걸릴텐데 두동이라... 내가 괜히 부산시립미술관을 먼저간것 같았다.
복수전공의 힘을 빌어 벡스코로 들어갔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너무나도 다양했다.



관람층도 5~6살짜리 꼬마부터 연세지긋한 할아버지까지,
자기 가족 작품이 전시된걸 보러 온 아저씨에서부터 가게에 전시해둘 작품을 사러 온 아주머니까지.
작품의 폭도 순수동양화부터 서양화, 팝아트, 영상촬영을 해서 전시해둔 영상촬영기법까지 다양했다.

사진을 찍고 싶은 작품들도 엄청 많았지만 많은 곳에서 사진촬영을 금지했다. 그럼 그림은 어떻게 보냐고 하니 앞에있는 화보집을 사가라고 친절히 알려주었다.물론 플레쉬를 안터트린다면 사진찍는걸 허락해주는 곳도 다소 있긴 있었다. 하지만 괜한 상술이 아닌가 싶었다. 어쩌겠는가. 이렇게 그림을 전시해 준것만으로도 고마워 해야지...

그중 눈에띄는 작가들(그리고 그중 인터넷상으로 작품을 찾을 수 있는 작가들)을 몇몇 모아보았다.


이경미가 그린 테이블과 도시, 고양이 연작은 화폭자체가 튀어나오거나 들어가 있어서 그림의 입체감을 더 잘 살려 주었다. 고양이와책, 실크천의 현실과 마을의 풍경과 강의 비현실의 조합이 참 재밌었다.


권재홍  바른생활사나이나 철수와 영희라는 평면화,표준화된 인간을 만들어서 그 안에서 약간은 엽기적이고 약간은 풍자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안윤모 팬시작품같이 생긴 부엉이, 호랑이등의 아기자기한 모습이 보였다.
팬시같이그려진이유가 작가의 표현을위해서인지 판매되는 그림을위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화랑미술제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그림이였다

김창렬 중학교미술시간에 명암표현을 연습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이 물방울 그림을 그리는 연습이라고 들었었다. 그거때문에 A2스케치북에 빼곡하게 그렸는데 두달이 넘게 그려서야 어설픈 물방울더미를 그리게되었는데
이 김창렬이라는 작가는 극사실주의의대가이자 물방울그림의 대가이다.  교과서에서 보고 놀랐는데 이런곳에서 보게될줄은 몰랐다.




위영일 이동기의'아토마우스'와 쌍벽을 이루는 상업적인 작품 '그들만의 칼라' '짬뽕맨'도 뵐수 있었다.
오오!!역시!팝아트!


제일 충격적인 작품을 뽑아라고 한다면 김세한의 Dot City Light 시리즈였다.
선이라곤 하나도 없는데 어떻게 점을 통해 나타낸 건지... 수많은 점이 모여 야경을 이룬다는 점이 아름다웠다.

감상평
1. 화랑미술제를 먼저가고 부산시립미술관을 갔어야됬어...엉엉엉....
2. 작품이 너무나도 많아서 오히려 집중이 안되었음.
3. 명작은 모여도 명작이였습니다.

Posted by contentadmi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