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법정을 소재로 한 영화는 많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영화들 중에서 그렇게 큰 인기를 끈 영화는 드물죠.
혹은 그렇게 뜬 영화라고 하더라도 변호사와 검사간의 증거문제가 아닌 치밀한 범인과 검찰,
혹은 정의를 지키려는 변호사와 인간성이 부족한 검찰간의 대결등이 있었죠.
그렇지만 그런 대결에는 정의와 비정의가 결정이 났고, 그 결정에 혼돈은 전혀 없습니다. 
정의의 편에 서서 그 생각에 쭉 찬성하거나 새로운 증거가 나오기를 기다릴 수 밖에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 '의뢰인'은 다르죠.

우선 변호사측 봅시다.
매인 주인공인 하정우. 의뢰자의 판결을 '뒤집을 수'있는 매우 '유도리 '있게 문제를 해결해 나갑니다.
과거 판사였기 때문에 판사들이나 법정이 어떻게 '굴러가는지'를 알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점을 최대한 활용합니다.
2일밖에 안남은 조사기간을 배심원재도로 만들어 몇달의 조사기간을 벌고,
용의자를 긴장시켜서 용의자의 감정표현이 멋지게 나올 수 있게 하였죠. 
또한 범죄를 추리해가는 능력이나 '스토리'를 풀어내는 능력은 배우들중 최고입니다.

그리고 검사측 봅시다.
검찰측인 박희순에는 여러가지 '불리한' 부분들이 있습니다. 
'결정적' 증거들은 없고 '몇몇' 증거들은 검찰측에서 삭제 혹은 은폐하고자 했습니다.
그런 점들을 변호사가 아플정도로 찔러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사건을 이길 수 있다고 자신합니다.
정황증거가 확실하기 떄문이죠. 냉철한 논리로 이런 이야기들 잘 풀어나갑니다

마지막 용의자 볼까요?
용의자 장혁은 아내에 대한 사랑을 가지고 있다고 이야기 하고 알리바이도 적절해 보입니다.
그렇지만 그는 과거 일어난 연쇄사건의 용의자 였습니다. 풀려나긴 했지만 찝찝한 부분은 많고 한 경찰이 몰래 조사중에 있습니다. 그는 감정적인 이야기를 최대한 아끼고 자신의 주장을 밀어붙이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의심스러운 부분은 많습니다. 증거는 없지만요.

이야기는 이러한 3명의 인물이 자신들이 모르는 진실을 밝히려고 혹은 자신들이 찾은 진실을 숨기거나 왜곡시키기 위해 노력합니다. 그들의 물빝작전이나 표정연기는 정말 제대로입니다. 여러가지 단서들과 증거들이 튀어나오고 관객들은 그러한 이야기가 진짜인지, 거짓인지, 혹은 또다른 공작인지를 생각해내야 하죠. 그러한 두뇌게임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추리를 더 자극해주는 '법정'의 존재를 부각시킨것도 좋습니다.
이러한 법정은 '용의자의 유무죄 '를 결정지어주는 공간이자 '공적인 증거'를 보일 수 있는 공간이죠.
'공적인 증거' 가 되지 못한 여러가지 증거들은 이 '법정' 에서는 제시될 수 없고 
또한 드러낼 수 있는 '진실'또한 제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최후 법정진술과 실제 검사 변호사들의 이야기에 대해 생각해보면 잘 알 수 있을겁니다.
분명 '증거가 있지만 법정에서 드러낼 수는 없는 자료'들이 엄청나게 많이 '제시되지 못'했죠.
최후법정진술은 그런 '제시되지 못한' 자료들을 제하고서 이야기되고 있습니다.)



이 3사람사이에서 일어나는 갈등이 주가되죠.


그리고 각각의 배우들은 그러한 연기를 잘 살려주고 있습니다. 본인들이 하던 연기의 연장선상이거든요.
하정우는 여러 연기에서 보여준  여전히 유들유들거리는 실력있는 역활을
박희순은 여러 연기에서 보여준 냉철하고 계산적인 어찌보면 악역의 역활을
장혁은 여러 연기에서 보여준 감정적인 부분을 절제하다가 한방에 터트리는 역활...을 해보지는 않았죠.
그렇지만. 매우성공적이였습니다.


그리고 성동일...멋졌어요. 아주그냥. 진짜. 개인적으로는 성동일단독주연으로 사건브로커 역활의 추리극 만들어도 참 잘할거 같다.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니깐요. 


그런데 이 전직형사님은 좀... 아예 안나와서 사람들의 호기심을 증폭시켜주거나 더 많이 나와서 자신이 용의자를 반드시 범인으로 생각하고 그 수사를 꼭 하곘다는 집념의 연기를 보여주셨어야 할 역활인데 그 용의자를 추격하고 꼭 잡고싶어한다. 정도만 보여준것 같아서 아쉽습니다.


또한 이런 배우들의 연기를 잡아준 화면구도나 연출이 참 좋았습니다.
한 사례를 말하자면 주인공이 한 사람에게 질문을 합니다.
답변자는 회상을 합니다. 그리고 그 회상은 답변자의 뒤쪽, 혹은 주변에서 일어나죠.
그리고 그 회상은 다시 현실로 들어오게 되죠. 공간적 동선은 벗어나지 않지만 시간적 동선은 현재 > 과거 > 현재를 통해 진행이 딱딱 이루어집니다.
뭐. 몇가지 재미난 시각적 연출들도 있지만 그런 것들은 직접 보실 분들을 위해 설명을 생략하겠습니다. 



그렇지만 단점도 있습니다.
이야기의 설정과 연출이 주는 긴장감은 참 좋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긴장감을 주기 위해서 제공되는 여러가지 단서들은 효과적인 이야기를 합니다. 그렇지만 이야기의 결론이나 진행에는 도움이 되지 않거나, 혹은 그러한 결론을 낼 수 없는 단서가 많습니다. 



예를 들면 장혁이나 장혁부인이 서로에게 집착을 가지고 있다라는 반대적인 진술이 있지만 그것들은 사건에 아무런 도움이 안됩니다. 또한 다리다친 손자의 증언은 아무도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또 성동일이 찾아다닌 '기억을 잃어버린 접촉사고'는 결국 발견되지 않았죠. 
(자전거를 탄 손자가 차에 치인이야기가 있긴 합니다만 그동안 '기억을 잃었다' 라고 한다면 시간적 공백이 있을텐데. 그 동안에 할아버지와 손자가 병원에든 경찰소에든 어떻게든 연락을 했겠죠.)
그리고 아내의 이야기나 아내의 심정을 하정우가 추리해내는 결과도 미덥지 못합니다.
'들으니까 그런거 같긴 하지만 정확한 증거는 없는'현상은 나중에 최종적인 사건의 해결에도 도움이 되진 않습니다.
'정황증거만으론 범인을 잡을 수 없다' 라는 변호사의 주장을 조금 더 파자면 
'증거 없이는 범인을 잡을 수 없다.'라고 할까요?

이러한 빈 구멍을 막기위해서 역시 연기자들의 연기력에 기대고 있습니다
하정우 스러운 배우와 박희순스러운 배우들이 그 역활을 차지하고 있지 않았다면. 
그러니까...예들기는 하정우와 박희순의 자리에 연기를 잘하는 신인배우들을 넣어보죠.
뭐. 잘하기는 잘했겠지만 그런 역활을 자주 맡고 있던 두 사람들의 연기력만큼. 
그러니까 저러한 이야기적 허점을 매울 수 있을 정도로 연기를 '미친듯이' 잘 할수 있는 배우가 아니였다면 
그 허점이 안 드러났을까요? 글쎄요..아니라고 봅니다. 


과연. 이 두분의 자리대신에 약간 연기가 어색한 배우가 들어왔다면. 이야기에 구멍이 있다는 것을 눈치 못 챌수 있을까요?


결론적으로 말해서 이 영화는 기존의 한국법정드라마들보다 이야기를 연출하는데 더욱 특출난 기수들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야기적 긴장감이 아닌 연기적인 긴장감이 중점이 된 현상은 여전했습니다.
나쁘다는것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조금만 더 치밀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는 거죠.
더욱더 치밀한 이야기와 적절한 양의 떡밥은 독자들의 긴장을 끝까지 몰아가는데 큰 도움을 주니까 말이죠. 
Posted by contentadmi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