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최초로 본 두뇌게임 영화는 우습겠지만 다이하드3입니다.
브루스 윌리스가 악당이 내는 문제를 맞추기 위해서 동분서주하는 모습은 참 대단하기도 했고 문제를 내는 악당에게 감탄하기도 했습니다만...
하지만 지금생각해보면 이는 두뇌게임영화가 아니라 그냥 브루스 윌리스와 똑똑한 흑인의 액션극일뿐이였고 마지막에도 그냥 액션으로 끝났죠.
이후 나는 두뇌게임영화를 이야기 할때는 몇가지 규칙을 정해두고 봤습니다..
1. 두뇌게임이 이야기의 전체적인 흐름을 만들거나 이야기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그냥 하나의 의문스러운 점을 풀어나가는 것도 좋고, 여러가지 문제를 던지는 형식의 이야기도 좋다.
하지만 두뇌게임이 중시되어야 한다(고로 쏘우시리즈는 1편만 포함된다.)
2. 위의 문제는 공평해야 한다
영화에서 나오는 문제들은 관객들도 풀 수 있도록(아니면 최소한 왜 저렇게 되어가는가 납득할 수 있도록) 쉽거나, 아니면 최소한 케릭터들이 문제맞추는 과정이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뜬금없이 나온 무언가'로 인한 문제해결방법은 인정하지 않는다. 최소한 앞에서 언급된 소제가 나와야 한다.
위의 규칙을 대면은 꽤 많은수의 추리영화, 호러영화, 서스펜스, 모험어드벤쳐등이 생략되죠.
그리고 남은 영화들은 사람들의 두뇌를 자극시키기 충분한 영화들이 남습니다.
도박묵시록 카이지같은 도박영화도 그속에 포함될것이요, 쏘우1편이나 큐브시리즈같은 장르도 괜찮죠. 혹은 맨 프롬 어스같이 한 사람의 정체에 대해서 다각도로 논의하는 것도 좋아합니다. 혹은 아예 위의 두 주제와는 어긋나지만 퀴즈쇼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퀴즈쇼나 슬럼독 밀리언에어같은것도 좋아합니다.
그중 최근에 본 두 영화를 소개할까 합니다.
이그젬.
여기 남녀인종경력등이 다양한 10명의 응시생이 있습니다. 그중 단 한명만이 시험을 통과해 어떤 기업에 입사할 수 있습니다.
그들 앞에는 종이가 있습니다. 나가는것도, 시험지를 훼손하는것도 금지입니다.
제한시간이 주어지고, 시험이 시작됩니다.
참가자들은 시험지를 봅니다. 하지만 시험지에는 아무것도 안보입니다
페르마의 방.
한 천재수학자청년이 있고, 그와 친했던 여자수학자가 있습니다. 성격까칠한 남자도 있고, 나이든 수학자도 있고 성격좋아보이는 아저씨도 있습니다.그들은 어떤 수학자 모임에 초대됩니다.그런데 페르마라고 불린 사람이 급한일이 있다면서 나가게 되고 그가 나간뒤 휴대폰으로 문제가 보내집니다.
그 문제를 제한시간내에 풀지 못하면 자동차 압축기를 폐기시킬때 쓴다는 강력한 압축기 4대가 4면에서 방을 압축시키기 시작합니다.
그 사람들이 살려면 문제를 풀어서 휴대폰으로 문제의 답을 보이는 것 뿐.
두 영화 다참 단순한 설정의 영화지만, 이렇게 제한된 공간에서는 특수효과도 그리 많이 사용할 수 없죠(큐브제외)
그렇기 때문에 그 부족한 부분은 스토리와 배우의 힘이 가장 중요하죠.
이 두 영화는 그걸 충분히 해낸것 같습니다(마지막에 보이는 문제의 답이 좀 어정쩡했긴 하지만 말이죠...)
먼저 이그젬의 경우에는 문제를 풀기위해서 각각의 케릭터들이 취하는 행동들도 이해가 갔습니다 '이걸 해보자구' '저건 어때?'라는 식으로 토의를 하기도 하고,그런식으로 다른 사람을 낚아서 떨어트리게 하기도 하면서 갈등을 고조시키고... 하는식으로 스토리가 서서히 긴박하게 흘러가죠..
페르마의 방 또한 그들을 가둔 페르마가 누구인지 고민을 하고, 그리고 그 와중에도 그곳에서 살아남기 위해 자신들의 지식을 짜내는 모습을 보여주는등 매우 괜찮게 스토리가 흘러갑니다.
둘 다 중반부가 되면은 어느정도의 추리능력으로 누가 중요인물인지 어떤 해결방법이 있는지 조금씩 깨닫게 되죠. (뭐. 모르는 부분은 끝에 가서야 아! 했지만 말이죠.)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영화들이 재미없다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관객들이 그 답이 맞았는가 틀렸는가를 추리하는 과정이 볼만하기도 하고,이런 스토리를 잡아서 만들었다는것 자체가 뛰어나니까 말이죠.
머리를 쓰고 싶으신 분이라면 한번정도 보시는것도 좋을듯 싶습니다.
브루스 윌리스가 악당이 내는 문제를 맞추기 위해서 동분서주하는 모습은 참 대단하기도 했고 문제를 내는 악당에게 감탄하기도 했습니다만...
하지만 지금생각해보면 이는 두뇌게임영화가 아니라 그냥 브루스 윌리스와 똑똑한 흑인의 액션극일뿐이였고 마지막에도 그냥 액션으로 끝났죠.
이후 나는 두뇌게임영화를 이야기 할때는 몇가지 규칙을 정해두고 봤습니다..
1. 두뇌게임이 이야기의 전체적인 흐름을 만들거나 이야기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그냥 하나의 의문스러운 점을 풀어나가는 것도 좋고, 여러가지 문제를 던지는 형식의 이야기도 좋다.
하지만 두뇌게임이 중시되어야 한다(고로 쏘우시리즈는 1편만 포함된다.)
2. 위의 문제는 공평해야 한다
영화에서 나오는 문제들은 관객들도 풀 수 있도록(아니면 최소한 왜 저렇게 되어가는가 납득할 수 있도록) 쉽거나, 아니면 최소한 케릭터들이 문제맞추는 과정이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뜬금없이 나온 무언가'로 인한 문제해결방법은 인정하지 않는다. 최소한 앞에서 언급된 소제가 나와야 한다.
위의 규칙을 대면은 꽤 많은수의 추리영화, 호러영화, 서스펜스, 모험어드벤쳐등이 생략되죠.
그리고 남은 영화들은 사람들의 두뇌를 자극시키기 충분한 영화들이 남습니다.
도박묵시록 카이지같은 도박영화도 그속에 포함될것이요, 쏘우1편이나 큐브시리즈같은 장르도 괜찮죠. 혹은 맨 프롬 어스같이 한 사람의 정체에 대해서 다각도로 논의하는 것도 좋아합니다. 혹은 아예 위의 두 주제와는 어긋나지만 퀴즈쇼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퀴즈쇼나 슬럼독 밀리언에어같은것도 좋아합니다.
그중 최근에 본 두 영화를 소개할까 합니다.
이그젬.
여기 남녀인종경력등이 다양한 10명의 응시생이 있습니다. 그중 단 한명만이 시험을 통과해 어떤 기업에 입사할 수 있습니다.
그들 앞에는 종이가 있습니다. 나가는것도, 시험지를 훼손하는것도 금지입니다.
제한시간이 주어지고, 시험이 시작됩니다.
참가자들은 시험지를 봅니다. 하지만 시험지에는 아무것도 안보입니다
페르마의 방.
한 천재수학자청년이 있고, 그와 친했던 여자수학자가 있습니다. 성격까칠한 남자도 있고, 나이든 수학자도 있고 성격좋아보이는 아저씨도 있습니다.그들은 어떤 수학자 모임에 초대됩니다.그런데 페르마라고 불린 사람이 급한일이 있다면서 나가게 되고 그가 나간뒤 휴대폰으로 문제가 보내집니다.
그 문제를 제한시간내에 풀지 못하면 자동차 압축기를 폐기시킬때 쓴다는 강력한 압축기 4대가 4면에서 방을 압축시키기 시작합니다.
그 사람들이 살려면 문제를 풀어서 휴대폰으로 문제의 답을 보이는 것 뿐.
두 영화 다참 단순한 설정의 영화지만, 이렇게 제한된 공간에서는 특수효과도 그리 많이 사용할 수 없죠(큐브제외)
그렇기 때문에 그 부족한 부분은 스토리와 배우의 힘이 가장 중요하죠.
이 두 영화는 그걸 충분히 해낸것 같습니다(마지막에 보이는 문제의 답이 좀 어정쩡했긴 하지만 말이죠...)
먼저 이그젬의 경우에는 문제를 풀기위해서 각각의 케릭터들이 취하는 행동들도 이해가 갔습니다 '이걸 해보자구' '저건 어때?'라는 식으로 토의를 하기도 하고,그런식으로 다른 사람을 낚아서 떨어트리게 하기도 하면서 갈등을 고조시키고... 하는식으로 스토리가 서서히 긴박하게 흘러가죠..
페르마의 방 또한 그들을 가둔 페르마가 누구인지 고민을 하고, 그리고 그 와중에도 그곳에서 살아남기 위해 자신들의 지식을 짜내는 모습을 보여주는등 매우 괜찮게 스토리가 흘러갑니다.
둘 다 중반부가 되면은 어느정도의 추리능력으로 누가 중요인물인지 어떤 해결방법이 있는지 조금씩 깨닫게 되죠. (뭐. 모르는 부분은 끝에 가서야 아! 했지만 말이죠.)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영화들이 재미없다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관객들이 그 답이 맞았는가 틀렸는가를 추리하는 과정이 볼만하기도 하고,이런 스토리를 잡아서 만들었다는것 자체가 뛰어나니까 말이죠.
머리를 쓰고 싶으신 분이라면 한번정도 보시는것도 좋을듯 싶습니다.
|
|
'관심사 > 영화/만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저씨 - 현실적 잔혹함을 띈 영화 (2) | 2010.09.20 |
---|---|
명절이면 찾아오시는 친척같은 영화케릭터모음 (0) | 2010.09.19 |
찰리체플린과 버스터키튼에 대해서 (2) | 2010.09.19 |
시스터 제너레이터 - 사무라 히로아키스러운 단편집 (0) | 2010.09.13 |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 이준익감독님. 이건 아니잖아요... (0) | 2010.05.12 |